3. 한국합기도 유술의 전승 3. 한국합기도 유술의 전승 합기유술은 1949년 그 이전에는 유(柔), 유술(柔術)이라 하여 청화원씨(淸和源氏)→갑비무전씨(甲斐武田氏)로 이어지는 원정의(源正義, 武田正義, 武田惣角; 다께다쇼오가쿠) 달인의 가문(家門)의 선대(先代)로부터 번외불출(幡外不出), 문외불출(門外不出) .. 카테고리 없음 2012.11.24
2. 한나라(한국) 합기술 유술의 전승지 야하타(팔번) 2. 고대 한민족(한나라)사람들의 무술인 한국합기유술 전승지 야하타(팔번) 고대 한일관계를 연구하고 있는 한일 학자들은 오우진왕조(응신왕조)는 백제계통으로 밝히고 있으며, 하치만(야하타)신은 오우진의 신령이라고 전해지고있다. 서기1312년 무렵에 쓰여진 하치만(야하타)우사큐교타쿠센슈(팔번.. 카테고리 없음 2010.01.01
한국합기도의역사 1. 한국합기도의 명칭과 합기도의 원류 지금 우리가 합기도라는 무술이름으로 수련하고 연마하고있는 이 무술은 대한민국합기도(합기도라는 명칭 이전에 합기술, 유술)는 도주이신 덕암 최용술선생님(1899~1986년)께서 해방 후(1946년 1월 15일) 덕암선생님의 고향인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광평리461번지.. 카테고리 없음 2009.08.05